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79

33강 레위기 강해 말씀: 레위기 16:1-34제목: 대속죄일, 은혜의 날 – 그리스도의 피가 우리를 정결케 하시나니 1. 서론: 왜 ‘대속죄일’이 필요한가?아론의 두 아들 나답과 아비후가 죽은 사건(16:1)은 하나님 앞에 제사장이라 할지라도 함부로 나아갈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.하나님은 거룩하신 분이기에, 죄가 있는 자는 그분 앞에 그냥 나아갈 수 없습니다. 그래서 하나님은 하루, 일 년에 단 한 번, 모든 죄를 속하는 날인 ‘대속죄일’을 정하셨습니다. 2. 본론①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 나아가는 길 (1-10절)대제사장은 아무 때나 지성소에 들어갈 수 없고, 반드시 속죄의식을 거쳐야만 했습니다. 아론은 자신과 가족을 위한 속죄제물을 먼저 드리고, 이후 **백성을 위한 두 염소(하나는 여호와께, 하나는 아사셀로)**를 준비.. 2025. 4. 22.
32강 레위기 강해 말씀: 레위기 15:1-33제목: 정결함을 지키라 — 일상의 거룩을 향하여 1. 서론 – 왜 이런 규정까지 있을까?레위기 15장은 매우 민감하고 구체적인 신체적 상황, 즉 생식기에서의 유출에 관한 규례입니다. 표면적으로는 위생 규정처럼 보이지만, 그 이면에는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대한 깊은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. 하나님은 우리의 일상생활, 심지어 가장 은밀한 부분까지도 거룩하길 원하십니다. 2. 본론① 유출은 부정을 낳는다 (1-15절)▸ 남자의 비정상적인 유출 (1-12절)몸에서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것은 질병 또는 이상 상태로 간주되며, 이는 부정하게 여겨졌습니다. 이로 인해 접촉한 사람, 옷, 침상, 의자 모두 부정해졌고 정결 예식을 따로 수행해야 했습니다. ✅ 영적 적용:우리의 영적 유출은 무엇일까.. 2025. 4. 22.
31강 레위기 강해 말씀: 레위기 14:33-57제목: 거룩하신 하나님, 우리의 삶도 정결하길 원하신다 1. 서론: 왜 '집'에까지 정결 예식이 필요한가?하나님께서는 단지 사람의 육체나 제사에만 관심이 있는 분이 아니십니다. 우리의 거주지, 즉 삶의 환경과 문화, 일상의 공간도 거룩하길 원하십니다. 레위기 14장은 사람의 나병에 대한 정결의식에서 이어져, 집에 생긴 나병에 대한 지침을 줍니다. 여기엔 깊은 영적 상징이 담겨 있습니다. 2. 본론① 하나님의 관심은 '전인적 거룩'이다 (33-35절)"너희가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너희에게 기업으로 주는 땅에서 어느 집에 나병 색점이 생기거든..."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간 후에도 그들의 삶 전체가 거룩하기를 원하셨습니다. ‘집’에 병이 생긴다는 것은 단순.. 2025. 4. 22.
한미관계의 특수성 한미동맹(韓美同盟)은 단순한 군사적 동맹을 넘어서 역사적, 정치적, 경제적, 문화적으로도 긴밀한 특수관계를 형성하고 있어. 이 관계의 "특수성"은 몇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어:1. 역사적 배경1950년 한국전쟁 당시 미국은 UN군의 주축으로서 한국을 적극적으로 지원했고, 이는 양국 간 동맹의 기초가 되었어.1953년 ‘한미상호방위조약’ 체결로 인해 미국은 한국의 안보를 보장하는 핵심 파트너가 되었고, 이 조약은 지금까지도 유효해.2. 군사적 협력주한미군 주둔: 약 2만 8천 명의 미군이 한국에 주둔하고 있어. 이는 미국이 한국 방어에 대한 실질적인 책임을 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.연합훈련과 작전계획: 한미 연합훈련(예: 을지프리덤실드, 키리졸브)은 정기적으로 시행되며,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고 있어.. 2025. 4. 21.
30강 레위기 강해 💠 레위기 14장 1-32절 강해 설교문제목: 나병 정결 예식, 예수 그리스도의 그림자본문: 레위기 14:1-32 1. 서론:여러분, 구약의 정결 예식은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미리 보여주는 상징입니다. 오늘 본문은 나병 환자가 나았을 때 제사장이 그를 정결케 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. 당시 나병은 단지 질병이 아니라, 하나님의 진노와 죄의 상징이었습니다. 그런 자가 다시 회복되고 성막 공동체로 들어오는 것은,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의미했습니다. 오늘 우리는 이 정결 예식을 통해 우리 죄를 정결케 하신 예수님의 사역을 깊이 묵상해 보고자 합니다. 2. 본론:1) 제사장이 진 밖으로 나가다 (1-3절)“제사장은 진 밖으로 나가 진찰할지니…” 나병 환자는 진 밖에 격리되어 살아야 했.. 2025. 4. 21.
29강 레위기 강해 강해 설교문: “죄의 흔적을 분별하고 치유로 나아가라”본문: 레위기 13:1-59 1. 서론: “거룩함은 드러나는 모습만으로 판단되지 않습니다”레위기 13장은 읽기 어려운 장입니다. 다양한 피부병의 형태, 진단 기준, 제사장의 역할 등 마치 의학 교과서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이 본문은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을 얼마나 정결하게 하시기를 원하시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규례입니다. 나병(히브리어: 차라앗)은 단지 질병이 아니라, 하나님과 공동체로부터 단절되는 영적 상태를 상징합니다. 2. 본문 강해1) 제사장은 질병을 판단하는 자(1-8절)피부에 부스럼이나 색이 변한 증상이 생기면, 즉시 제사장에게 가서 진단을 받아야 했습니다. 제사장은 7일간 격리시키고, 병의 진행 상태에 따라 정결 또는 부정을 .. 2025. 4. 21.